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폭싹 속았수다’는 제주 해녀의 삶을 배경으로 한 감동적인 이야기입니다. 드라마 초반, 애순이 엄마 광례(염혜란 분)는 29살의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납니다. 그녀의 죽음은 단순한 비극을 넘어 제주 해녀들이 실제로 겪는 치명적인 직업병인 ‘숨병(감압병)’과 밀접하게 연결돼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드라마 속 숨병의 의미를 중심으로, 숨병과 잠수병의 정의, 원인, 증상, 치료 및 예방 전략까지 함께 살펴보며 광례의 죽음이 지닌 상징성과 현실적 위험을 동시에 알아보겠습니다.
숨병이란 무엇인가?



숨병은 감압병(Decompression Sickness, DCS)의 일종으로, 수중에서 반복적인 잠수를 하며 급격히 수면으로 올라올 때 발생합니다. 체내에 용해된 질소가 기포로 변하며 혈관과 조직을 막아 통증, 피로, 신경학적 문제를 유발하는 매우 위험한 질환입니다.
드라마 속 광례의 죽음과 숨병
‘폭싹 속았수다’에서 광례는 해녀로서 가족을 부양하기 위해 반복적으로 바다에 들어가 물질을 하다, 결국 숨병으로 사망합니다. 이는 단지 서사적 장치가 아니라, 실제 제주 해녀들이 직면한 건강 문제를 반영한 것입니다.
숨병의 원인과 발생 메커니즘



잠수 중에는 고압 환경에서 질소가 체내에 녹아듭니다. 급하게 수면으로 상승하면 이 질소가 빠르게 기포로 변해 혈류를 막고 조직에 손상을 줍니다. 이때 발생하는 것이 바로 숨병, 또는 잠수병입니다.
- 수심이 깊고, 잠수 시간이 길수록 위험 증가
- 급격한 상승, 충분하지 않은 감압 정지가 주요 원인
- 체지방률이 높거나, 탈수 상태일 경우 더 쉽게 발병
숨병의 주요 증상
- 어깨·무릎 등 관절 통증
- 피로감, 어지럼증
- 호흡 곤란, 가슴 압박
- 두통, 의식 혼란, 감각 이상
- 마비, 실신 등 신경학적 손상
광례 역시 이런 증상 끝에 목숨을 잃었을 가능성이 크며, 드라마에서는 해녀들이 굿을 통해 숨병의 공포를 달래는 장면이 상징적으로 그려졌습니다.
진단과 치료법



진단 방법
- 잠수 깊이, 시간, 증상 발현 시점 등을 바탕으로 병력 청취
- MRI, CT로 체내 기포 여부 확인
치료법
- 고압 산소 치료(HBOT)가 가장 효과적
- 증상 완화용 진통제(NSAID), 스테로이드
- 응급 시 60분 내 치료 시작이 생명에 결정적
해녀들이 전하는 숨병 예방 수칙



1. 천천히 상승하기
급상승은 절대 금지. 수면 전 3~5m 지점에서 잠시 멈추는 ‘감압 정지’는 필수입니다.
2. 충분한 휴식과 수분 섭취
탈수는 질소 배출을 방해합니다. 물은 잠수 전 1~2시간 이내 500ml 이상 섭취 권장됩니다.
3. 정기적인 건강검진
심혈관 질환, 당뇨 등 만성질환자라면 잠수 전 전문의 상담이 필요합니다.
4. 교육과 장비 점검
정확한 감압 지식과 안전한 장비 사용은 생명을 지키는 첫걸음입니다.
결론



‘폭싹 속았수다’ 속 광례의 숨병 사망은 드라마 속 극적 장면을 넘어, 실제 제주 해녀들의 삶에 존재했던 현실적 위협입니다. 숨병과 잠수병은 단순한 피로가 아닌,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질병입니다.
해녀뿐 아니라 스쿠버 다이버, 프리다이버 등 수중 활동을 하는 누구나 이 질환을 이해하고, 철저한 예방 전략을 실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드라마를 통해 환기된 이 중요한 건강 이슈가, 더 많은 사람들의 안전한 잠수 문화를 만드는 계기가 되기를 바랍니다.